젊은데… 허리 통증 3개월 지속된다면 디스크 아닌 '이 질환'일 수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진오교 쪽지보내기 아이디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1,136회 작성일 24-03-24 07:24본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로 외부 활동이 줄고 장시간 앉아 일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었다. 디스크가 없는 젊은 사람은 허리 통증을 단순한 근육통이라고 여기기 쉽다. 그러나 쉬어도 사라지지 않는 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강직성 척추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강직척추염은 척추와 천장관절(엉치뼈와 엉덩이뼈가 만나는 부위)에 만성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으로 면역 세포가 우리 몸을 공격하고 그로 인한 염증이 조직을 파괴한다. 이러면 디스크를 싸고 있는 인대가 뼈처럼 단단해지는데 방치하면 허리가 대나무처럼 굳는다. 척추 부위 염증 외에도 무릎·발목 부위의 말초 관절염과 눈의 포도막염,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을 동반하기도 한다.
강직척추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적 요인(HLA-B27) ▲살모넬라균·시겔라균 같은 세균 감염 ▲물리적 스트레스 ▲증가한 면역 반응(TNFα, IL-17)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직척추염은 10~20대 젊은 나이부터 발병하는데,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2~3배 더 많다.
강직척추염은 진단 시 ‘염증 요통’의 여부가 중요하다. 주요 증상은 등·허리·둔부의 만성 통증이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허리 통증과 더불어 ▲40세 이전에 발생 ▲서서히 발생 ▲운동 후에 호전 ▲휴식에 호전 없음 ▲야간 통증 중에서 4개 이상에 해당할 경우 강직척추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최종 진단은 강직척추염의 임상적 특징과 유전자 검사, 혈액검사, X-ray, MRI 등의 결과를 종합해 내린다.
강직척추염은 비약물 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된다. 비약물 치료는 먼저 금연과 운동이다. 흡연은 강직척추염 방사선학적 진행의 위험인자다. 염증을 증가시키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므로 강직척추염 환자라면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운동은 목·어깨·척추·고관절·하체 등 전신 스트레칭과 유산소 운동, 적절한 근력 운동이 권고된다.
약물치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주로 사용한다. 경구약이 효과가 없으면 염증 매개 물질을 차단하는 ‘항TNF 제제’와 ‘IL-17 억제제’ 등 생물학적 제제를 고려할 수 있다. 면역세포가 염증을 부르는 신호에 큰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게 목표다.
강직성 척추염은 완치가 어렵다. 단 염증이 척추를 침범하기 전에 진단해서 위와 같은 치료를 적용하면 별 지장 없이 일상을 살아갈 수 있다. 진단이 늦어져 염증이 척추까지 올라가면 허리를 움직이는 게 힘들어진다. 등까지 올라가면 흉곽호흡이 어려워지고 목까지 올라가면 목을 돌리지도 못하게 된다. 질환의 특성 상 초기 5~10년간 빠르게 진행하므로 40세 이전에 이상을 느끼면 전문의를 만나보는 게 좋다.
강직척추염은 척추와 천장관절(엉치뼈와 엉덩이뼈가 만나는 부위)에 만성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으로 면역 세포가 우리 몸을 공격하고 그로 인한 염증이 조직을 파괴한다. 이러면 디스크를 싸고 있는 인대가 뼈처럼 단단해지는데 방치하면 허리가 대나무처럼 굳는다. 척추 부위 염증 외에도 무릎·발목 부위의 말초 관절염과 눈의 포도막염,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을 동반하기도 한다.
강직척추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적 요인(HLA-B27) ▲살모넬라균·시겔라균 같은 세균 감염 ▲물리적 스트레스 ▲증가한 면역 반응(TNFα, IL-17)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직척추염은 10~20대 젊은 나이부터 발병하는데,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2~3배 더 많다.
강직척추염은 진단 시 ‘염증 요통’의 여부가 중요하다. 주요 증상은 등·허리·둔부의 만성 통증이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허리 통증과 더불어 ▲40세 이전에 발생 ▲서서히 발생 ▲운동 후에 호전 ▲휴식에 호전 없음 ▲야간 통증 중에서 4개 이상에 해당할 경우 강직척추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최종 진단은 강직척추염의 임상적 특징과 유전자 검사, 혈액검사, X-ray, MRI 등의 결과를 종합해 내린다.
강직척추염은 비약물 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된다. 비약물 치료는 먼저 금연과 운동이다. 흡연은 강직척추염 방사선학적 진행의 위험인자다. 염증을 증가시키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므로 강직척추염 환자라면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운동은 목·어깨·척추·고관절·하체 등 전신 스트레칭과 유산소 운동, 적절한 근력 운동이 권고된다.
약물치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주로 사용한다. 경구약이 효과가 없으면 염증 매개 물질을 차단하는 ‘항TNF 제제’와 ‘IL-17 억제제’ 등 생물학적 제제를 고려할 수 있다. 면역세포가 염증을 부르는 신호에 큰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게 목표다.
강직성 척추염은 완치가 어렵다. 단 염증이 척추를 침범하기 전에 진단해서 위와 같은 치료를 적용하면 별 지장 없이 일상을 살아갈 수 있다. 진단이 늦어져 염증이 척추까지 올라가면 허리를 움직이는 게 힘들어진다. 등까지 올라가면 흉곽호흡이 어려워지고 목까지 올라가면 목을 돌리지도 못하게 된다. 질환의 특성 상 초기 5~10년간 빠르게 진행하므로 40세 이전에 이상을 느끼면 전문의를 만나보는 게 좋다.
http://n.news.naver.com/article/346/0000064507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